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
깊은 관련이 있는 대사 질환입니다.
근육은 혈당을 소비하는
주요 조직 중 하나로,
근육량이 많을수록
혈당이 안정적으로 조절됩니다.
근력 운동은 근육량을 늘리고
인슐린 감수성을 높이며,
당화혈색소(HbA1c)를 감소시키는 데도
효과적입니다.
특히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유익하며,
제1형 당뇨병 환자도 조절 하에
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.
◈◈근력 운동의 효과◈◈
① 혈당 조절
: 근육은 혈당을 흡수하여 에너지로 사용합니다.
운동 후에는 인슐린과 무관하게
포도당을 세포 내로 끌어들이는
GLUT-4 단백질이 증가하여
혈당이 자연스럽게 낮아집니다.
② 인슐린 감수성 향상
: 규칙적인 근력 운동은 인슐린의 작용을 높이고,
혈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능력을
개선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줄이는 데
큰 효과가 있습니다.
③ 체지방 감소, 근육량 증가
근육량이 늘어나면 기초대사량이 증가하며,
지방량이 줄어들어 내장지방에 의한
인슐린 저항성도 완화됩니다.
1.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한
근력 운동 종류
(1) 맨몸 근력 운동 (체중 부하 운동)
: 기구 없이 자기 체중을 이용해
수행하는 운동으로,
어디서나 쉽게 할 수 있어
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적합합니다.
◆ 대표동작
①스쿼트
: 하체와 코어 근육을 강화하는 대표 운동입니다.
· 방법: 다리는 어깨 너비,
무릎은 발끝 넘지 않게,
엉덩이를 뒤로 빼며 앉기
· 세트: 15회 × 2~3세트
②런지
: 양쪽 다리를 번갈아 내딛으며
하체 근력과 균형감을 동시에
훈련할 수 있습니다.
· 방법: 한 발 앞으로 내디디며
뒷무릎이 바닥에 가까워지도록 내리기
· 세트: 각 다리 10회 × 2세트
③ 푸쉬업(무릎 대고 시작 가능)
: 상체, 가슴, 팔 근력을 키우는 기본 동작입니다.
· 방법: 어깨 넓이 손 위치, 몸은 일직선 유지
· 세트: 10~15회 × 2세트
(2) 덤벨을 활용한 근력 운동
: 초보자는 1~3kg의 가벼운 덤벨로 시작하며,
점진적으로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.
◆ 대표동작
① 덤벨 컬(Biceps Curl)
: 이두근(팔 앞쪽) 단련
· 방법: 양팔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
덤벨을 들어올림
· 세트: 12회 x 3세트
② 숄더 프레스(Shoulder Press)
: 어깨 근육 강화
· 방법: 귀 옆으로 덤벨 들고 위로 밀어올림
· 세트: 10~12회 × 2세트
③ 덤벨 스쿼트
: 덤벨을 들고 스쿼트를 수행하여 부하 증가
· 세트: 10~15회 × 2세트
(3) 저항 밴드를 이용한 운동
: 관절에 무리가 적고, 저항 강도를
조절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
매우 안전합니다.
◆ 대표동작
① 밴드 로우(Row)
: 등과 팔 뒤쪽 강화
· 방법: 밴드를 양발에 고정 후 양손으로 당김
· 세트: 12회 × 2세트
② 밴드 사이드 스텝
: 엉덩이와 허벅지 측면 강화
· 방법: 무릎 아래 밴드 착용 후 좌우로 걷기
· 세트: 10회씩 좌우 × 2세트
2. 운동 빈도 및 시간
▶ 주 2~3회 근력 운동 권장 (하루 건너 반복)
▶ 1회당 약 30~45분
(초보자는 20분으로 시작 가능)
▶ 세트 간 휴식 30초~1분 유지
3. 근력 운동 시 주의사항
① 운동 전후 혈당 확인
· 공복혈당 90mg/dL 미만 시,
간단한 간식 섭취 (예: 우유 1컵, 바나나 반개)
· 운동 중 어지러움, 식은땀, 떨림 등의
저혈당 증상 시 즉시 중단 후 혈당 체크
② 발 관리
: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
발 상처가 위험하므로 운동화 착용,
맨발 운동 피하기
③ 너무 무거운 무게 지양
: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, 숨을 참으며
무거운 무게를 드는 것은
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함
④ 근육통은 정상, 통증은 이상
: 운동 후 하루 이틀 약한 통증은 괜찮지만,
날카로운 통증이나 부종이 있다면 중단
4. 1주일 운동 플랜
(초·중급자 기준)
5. 마무리
근력 운동은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 조절을 위한
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.
특히 제2형 당뇨 환자의 경우
인슐린 저항성을 줄이고, 체성분을 개선하여
당화혈색소(HbA1c) 감소에도 기여합니다.
꾸준한 근력 운동은 단기적인
혈당 조절뿐만 아니라
장기적인 심혈관 건강 유지,
합병증 예방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.
중요한 것은 지속 가능하고
안전한 방식으로 시작하는 것입니다.
각자의 체력과 건강 상태에 맞는
계획으로 전문가의 지도나 피드백을
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'현대인 건강관리 > 당뇨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당뇨병과 혈당관리를 위한 운동추천 - 유연성, 균형운동 (29) | 2025.04.21 |
---|---|
당뇨병과 혈당관리를 위한 운동 추천 - 유산소 운동 가이드 (22) | 2025.04.10 |
당뇨병과 혈당관리를 위한 일주일 주간 식단 구성표 (24) | 2025.04.01 |
GI와 GL을 고려한 건강한 당뇨병 하루 식단 만들기 (23) | 2025.03.31 |
당뇨관리에 필수인 식품군별 GI & GL 지수표 총 정리 (18) | 2025.03.12 |